계약이 끝났는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면? 이제 모바일 앱을 통해 보증 이행 청구부터 보증금 지급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 이행 서비스는 임차인이 전세보증금을 받지 못할 경우, 이사와 동시에 보증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글에서는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전세보증 이행을 청구하는 방법과 절차를 안내한다.
1. HUG 전세보증 이행 서비스란?
HUG의 전세보증 이행 서비스는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전세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한 경우, 보증기관이 이를 대신 지급하는 제도다.
신청 가능한 경우
- 임대차 계약 종료 후 1개월이 지나도 전세보증금을 받지 못한 임차인
- 임대차 계약기간 중 임대인의 경매 또는 공매로 인해 전세보증금을 받지 못한 임차인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주택임차권등기 경료 후 보증이행 청구 가능하다.
단, 임차권등기 결정문을 제출하면 이행심사를 진행할 수 있으나, 심사 완료 전까지 주택임차권등기 등재가 필요하다.
2. 보증이행 청구 전 준비해야 할 서류
보증이행 청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필수 서류
- 확정일자부 전세 계약서
- 전세계약 종료(해지) 증빙자료
- 임차권등기명령 결정문
- 부동산등기부등본
- 주민등록표 초본
- 기타 서류 (필요 시 추가 요청 가능)
미리 준비해두면 신청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된다.
3. 모바일을 통한 보증이행 청구 절차
HUG의 안심전세앱을 활용하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보증이행 청구가 가능하다.
① 관할 관리센터 조회
- 본인의 보증상품에 맞는 ‘이행청구’ 선택
- 보증내용 확인 후 ‘이행청구 신청’ 클릭
- 담당 관할 관리센터 확인
② 셀프체크 진행
- 보증이행 청구 요건을 갖추었는지 필수 확인
③ 이행청구 정보 입력
- 보증사고 사유 선택
- 이행 청구 금액 입력
- 임차권등기명령 사건번호 및 계좌정보 입력
④ 제출서류 업로드 및 전자서명
- 필수 서류 제출 및 전자서명 진행
⑤ 보증이행 심사 진행
- 심사 진행 상황은 안심전세앱 ‘이행청구내역 조회’ 화면에서 확인 가능
4. 전세보증 이행, 얼마나 효과적일까?
HUG의 전세보증 이행 서비스는 이미 많은 임차인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서비스 성과(2024년 11월 기준)
- 21,764명의 임차인이 보증금을 신속하게 반환받음
- 총 4.9조 원 규모의 전세보증금 반환 지원
이는 정부의 지속적인 혁신과 디지털화를 통해 국민의 주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결과다.
전세 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면?
이제 HUG 안심전세앱을 통해 모바일로 간편하게 보증이행 청구할 수 있다.
비대면 서비스로 더욱 간편하게!
신청 전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보증이행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한 후 신청하면 신속한 보증금 반환이 가능하다.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고 싶다면, 지금 바로 모바일로 신청해보자.